끼임 사고 고위험 사업장 안전관리 집중점검
제10차 현장점검의 날, 유해, 위험 기계, 기구로 인한 끼임 사고 예방 중점 점검
끼임 사고 고위험 사업장 안전관리 집중점검
이브필라테스(건대) | fmebsnews
제10차 현장점검의 날, 유해, 위험 기계, 기구로 인한 끼임 사고 예방 중점 점검
최근 발생한 식료품 제조업체 끼임 사망사고를 포함하여 올해도 여러 사업장에서 끼임 사고로 인한 중대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은 5월 28일(수) 제10차 현장점검의 날에 끼임 사고 다발 제조업종을 중심으로 유해위험 기계기구를 보유한 고위험 사업장을 선정하여 감독점검에 나선다.
최근 3년간(’22년~’24년) ①기계기구·금속 및 비금속광물 제품 제조업(38.1%), ②화학 및 고무 제품 제조업(18.2%), ③목재 및 종이 제품 제조업(11.1%), ④식료품 제조업(9.5%) 등
기계에 신체가 끼이는 사고*는 단 한 번의 실수로도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사업장의 유해·위험 기계·기구와 비정형 작업 등 위험작업을 중점적으로 확인한다.
최근 3년간(‘22~’24년) 제조업의 사고사망자 중 끼임으로 인한 중대재해가 126명으로 가장 많음
(유해위험 기계·기구) 컨베이어, 배합·혼합기, 산업용 로봇, 분쇄·파쇄기, 사출성형기 등
(위험작업) 정비·청소·검사·수리·교체 또는 조정작업 등
특히, 미인증 기계·기구, 안전 인증·검사 기준 부적합 기계·기구를 사용하거나, 방호장치 없이 사용하는지 등을 철저히 확인한다. 산업안전보건 법령 위반 사업장에 대해서는 행사법 조치하고, 끼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핵심 안전수칙도 지도한다.
기계. 기구 사용 방법 교육·숙지, 기계, 기구의 위험한 곳에 덮개·안전가드 등 방호조치,
정비, 보수 작업 시 전원 차단, 잠금 조치 및 안전표지 부착, 작업지휘자 배치 등
최태호 산재예방감독정책관은 “끼임 사고는 덮개 등 방호장치 설치, 기계 정비 시 운전정지(LOTO, Lock Out Tag Out) 등 기본 안전수칙 준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하면서, “정부는 사업장의 충분한 안전 조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현장 중심의 감독점검을 이어나갈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fmebsnews
<저작권자 © 이브필라테스(건대),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